728x90
반응형
# ch6 The Link Layer and LANs## Link layer
##6.1 Link layer introduction
1. 용어
- node : 호스트, 라우터 포함 기계
- link : node를 연결하는 채널
- frame : link레이어의 데이터 단위 (네트워크 레이어 데이터그램 캡슐화 -> frame)
2. 링크 레이어 목적
- 인접한 노드간 링크를 통한 frame 의 전송
링크 레이어 비유
- 여행객 : 데이터그램
- 교통 수단: 링크 레이어 프로토콜
- 여행사 직원: 라우팅 알고리즘
3. 기능 service
1) framing (프레임화)
- 네트워크 데이터그램 캡슐화 -> 프레임
2) link access(링크접속)
- MAC(매체 접속 제어) 프로토콜
3) rdt (신뢰적 데이터 전송)
- 무선 링크는 에러가 많음
4) flow control 흐름제어
5) 에러 검출
6) error correction
7) half-duplex, full-duplex
- half-duplex: 전송과 수신 둘 중 하나만 가능
- full-duplex: 전송,수신 둘 다 가능
4. 링크레이어가 작동되는 장소(where is the link layer implemented?)
- 모든 호스트에서 작동
- adaptor 어뎁터(network interface card) 또는 칩
-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둘 다 필요

5. adaptor communicating

1) 전송 측면
- 데이터그램 캡슐화 -> 프레임화
- 에러 체크 비트, rdt,흐름제어
2) 수신측면
- 에러검출, 정정
- 흐름제어,rdt
- 프레임에서 데이터그램 추출-> 상위계층으로 전송
반응형
'Computer Science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] ch6.3 multiple access protocols 다중접속 프로토콜 (0) | 2021.07.19 |
---|---|
[네트워크] ch6.2 error detection, correction (0) | 2021.07.19 |
[네트워크] ch5.5 The SDN control plane (0) | 2021.07.19 |
[네트워크] ch5.2 routing protocols (0) | 2021.07.19 |
[네트워크] ch5.1 : network layer control plane introduction (0) | 2021.07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