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파이프 라인
- rdt 방식은 stop-and-wait (전송후 대기) 방식이어서 효율이 매우 낮아서 효율을 높이기 위해 파이프라인을 사용
- 개념: 여러개의 패킷 전송
1) 종류
- go-back-N
- 선택적 반복(selective repeat)
2. go-back-n(n부터 반복)
- 개념: 여러패킷을 전송하되 손실된 n패킷부터 다시 재전송
- 순서대로
- 과정: 여러개 패킷전송 -> 중간에 손실 -> 손실 이후부터 무시 (손실전의 ack번호 만 응답) -> 타이머 초과 -> 손실된 n번부터 다시 재전송
- 단점: 에러난 n패킷부터 다시 다 재전송 하기 때문에 조금 비효율적

3. 선택적 반복(selective repeat)
- 개념: 여러 패킷을 전송하되 손실된 패킷만 재전송
- 송수신 과정: 여러 패킷 전송-> 에러 없으면 ackN 수신-> 에러 발생 -> 에러 이후 패킷 버퍼링 한 후 ack 수신-> 타임머 초과 -> 에러 패킷 재전송 -> 버퍼에 있는 패킷 순서대로 전달
- 윈도우를 가짐

- 문제 : 중간에 에러 발생 -> 재전송-> 송신자와 수신자의 윈도우 위치가 다름-> 위도우가 지나간 패킷에 대해서는 전의 패킷인지 다음의 패킷인지 구분 불가 -> 해결: 윈도우 크기가 시퀀스 넘버/2 보다 작으면 중복되는 값 발생 않함.
반응형
'Computer Science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네트워크] ch2.6 CDN (0) | 2021.07.19 |
|---|---|
| [네트워크] ch2.5 P2P applications(파일의 분배) (0) | 2021.07.19 |
| [네트워크] ch3.4 신뢰적 데이터 전송(reliable data transfer)(rdt) (0) | 2021.06.21 |
| [네트워크] ch3.3 UDP (0) | 2021.06.21 |
| [네트워크] ch3.1 transport-layer 트랜스포트 레이어 (0) | 2021.06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