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## subnet
- 개념: 라우터 없이 연결(IP주소의 앞 부분인 같은 망)
- 서브넷 표현 방식
- CIDR(classless Inter Domain Routing):
- ex) 200.23.16.0/23 : 23번 비트까지 서브넷
## DHCP(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)
- 개념: plug-and-play 방식으로 네트워크에 호스트가 연결되면 IP주소 부여
- subnet 안에서의 IP주소 할당
2. 목표
- IP주소 갱신
- IP주소 재사용
- 이동중에도 네트워크 사용가능
3. 동작 과정
1) DHCP discover
: broadcasting 으로 클라이언트가 DHCP서버를 찾음
2) DHCP offer
: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자신이 DHCP서버라 알림
3) DHCP request
: IP주소 요청
4) DHCP ACK
: 서버의 IP요청의 답
4. DHCP 메시지에 IP주소 이외의 정보도 포함
5. 기관 안에서의 IP 주소 할당
- Isp block 에서 ISP 주소 를 제외한 남는 비트를 활용해 주소 할당
1) 계층적 주소화
- 계층적 주소화를 통한 효율적 주소화를 한다.
## 네트워크 주소 변환(NAT)
## NAT(network address translate)네트워크 주소변환
- 개념: 외부와 내부네트워크의 IP주소와 포트넘버 따로 운영
- motivation
- : 로컬 네트워크는 ISP로 부터 1개의 IP주소만 할당
- 로컬 네트워크 안에서는 각 호스트의 IP주소 가지고 있음
- 로컬 네트워크 안에서 외부로 알림없이 각 호스트의 ip주소 변경 가능
- IP주소 변화 없이 ISP 변경 가능
2. implementation(수행과정)
- 1) 내부네트워크에서 내부 IP주소와 포트넘버 부여
- 2) NAT 라우터에서 내부로부터 외부로 전송되는 데이터그램에 외부 IP주소와 외부포트 번호 부여,
- 3) 내부와 외부 IP주소,포트넘버 기억
- 4) 들어오는 데이터그램의 외부 IP주소와 포트넘버와 내부 IP주소를 비교해서 목적 호스트로 전송
3. 단점
- IPV6 로 주소가 모자라지 않을 수 있다
- 외부에서 원하는 내부 포트로의 전송을 바로 못한다.
## IPv6
## IPv6
- 개발 이유
- IPv4의 주소의 개수가 모자르기 때문
2. IPv6 데이터그램 형식
3. IPv4와의 차이
- checksum 사라짐
- ICMPv6 : 데이터의 크기가 큰 경우 IPv4는 데이터 분할및 재조립으로 전송 하고 IPv6는 'packet Too Big'' 메시지를 전송
4. IPv4 에서 IPv6로 이동
- 변화과정중 동시에 호환이 되는 방안 필요
1) Tunneling(터널링)
- 개념: IPv6에서 IPv4를 지날 때 IPv4 안에 IPv6데이터를 담아 터널을 통과하듯이 지나감
반응형
'Computer Science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] ch5.2 routing protocols (0) | 2021.07.19 |
---|---|
[네트워크] ch5.1 : network layer control plane introduction (0) | 2021.07.19 |
[네트워크] ch4.3 IP: Internet Protocol (0) | 2021.07.19 |
[네트워크] ch4.2 라우터의 내부 (0) | 2021.07.19 |
[네트워크] ch4.1 네트워크 레이어 개요 (0) | 2021.07.19 |